국제사회가 주목하는 중앙아시아와 교류 확대 > 헤드라인뉴스

본문 바로가기
상단오른쪽배너
상단배너2

헤드라인뉴스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중앙아시아와 교류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8-20 12:57

본문




중앙아시아 3개국 주요 도시와 우호교류 계획


021246a8d4c861b3958946f616a451c2_1755661648_781.JPG

경제산업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 기대

역사 논란으로 상처받은 고려인 사회와도 만남 예정

고려인 많은 평택 … 공동체 통합도 기대

 

평택시(시장 정장선)가 중앙아시아 주요 도시들과의 교류 확대 계획을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전략적 요충지인 중앙아시아와 연계해 평택의 도시 외교와 경제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평택시는 중앙아시아가 최근 세계 각국의 협력 대상지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유럽연합(EU)의 경우 지난 4월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키르기스공화국,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첫 정상회의를 열어 120억 유로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며, 무역물류에너지디지털원자재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중국도 중앙아시아를 일대일로(一帶一路)’의 전략적 핵심 파트너로 설정해 기반 시설(인프라) 투자와 경제 협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일본도 심각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아시아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국제사회에서 중앙아시아의 위상이 높아지고 새로운 기회의 창출이 예상됨에 따라 평택시도 중앙아시아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평택시는 지난 20238, 우즈베키스탄 시르다리야주와 우호 교류를 맺은 데 이어, 오는 825일에는 키르기스공화국 오쉬시, 28일에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주를 각각 공식 방문해 우호 교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교류는 초기 상호 협력 의사 표명 단계로, 추후 정식 우호 교류합의서 체결 시에는 시의회의 동의 절차를 거쳐 공식화할 계획이다.


021246a8d4c861b3958946f616a451c2_1755662017_687.jpg
 

 

시는 국가별 특성에 따라 실질적인 협력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젊은 노동력과 제조업 기반이 강해 인적산업 교류가 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고, 카자흐스탄은 에너지광물 자원이 풍부해 경제 협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의 스위스로도 불리는 키르기스공화국과는 관광 분야에서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평택시는 고려인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이 지역 내 다수 거주하고 있어 이번 교류가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전했다. 이번 교류를 통해 고려인 등이 자신의 역사와 전통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세대 간 정체성과 소속감을 강화하면서 건강한 다문화 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교류 확대와 관련해 정장선 시장은 중앙아시아는 지금 세계가 주목하는 지역이라며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공화국과의 교류를 넓혀 국제도시로서 위상을 높이는 동시에 경제산업문화 분야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나가겠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정 시장은 이번 교류를 통해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고려인이나 중앙아시아 외국인들이 자부심을 갖길 바라며, 나아가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닌 지역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평택시는 이번 중앙아시아 방문 과정에서 독립유공자 후손회’, ‘고려인 민족중앙회등과 만나 최근 홍범도 장군 논란으로 상처받은 고려인 사회에 위로와 지지의 뜻을 전할 계획이다. 이번 만남으로 선조들의 독립정신을 함께 기리고, 미래지향적 협력의 토대를 마련할 예정이다.

 

더불어 평택에서는 지역사회와 고려인 공동체의 소통과 교류를 위한 고려인 문화주간이 오는 926일부터 8일간 평택국제교류재단 주관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상호ptmnews@naver.com



#평택매일 #ptm뉴스 #국제사회 #중앙아시아

#문화주관 #평택국제교류재단 #중앙아시아 

#평택의도시 #외교와경제 #우즈베키스탄

 

[Copyright ⓒ 평택매일뉴스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호명 : 평택매일뉴스    대표자 성명 : 한상호    사업장 주소 : 경기도 평택시 송탄공원로 145 102-1006    등록번호 : 경기, 아54151    사업자등록번호 : 481-03-03319
연락처 : 031-663-4298    FAX : 031-667-2666    이메일주소 : ptmnews@naver.com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옥빈    발행인 : 한상호    편집인 : 한옥빈   
Copyright © 평택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